검색결과
'참나무과'
검색결과는 총 48 건 입니다.-
식물자료 42 건
-
#유럽너도밤나무 '다윅 퍼플'
Fagus sylvatica 'Dawyck Purple'하늘을 향해 직립하는 수형과 진한 자주색을 띠는 잎이 매력적이다. 봄철 새로 나오는 잎은 황동색을 띠다가 여름철이 되면 짙은 자주색으로 점차 변한다. 입구를 상징하는 공간에 쌍으로 심거나 산책로에 양쪽으로 나란히 줄맞추어 심어도 좋으며, 단독수로 심어도 좋다.
AGMPGMKGM -
#유럽너도밤나무
Fagus sylvatica웅장한 수형과 가을철 오렌지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아름답다. 수형이 아름답고 크게 자라서 경관수나 녹음수로도 좋지만 전정에 강해서 거대한 수벽용으로도 좋다. 영명은 Common Beech(일반너도밤나무), European Beech(유럽너도밤나무)라고 하며, 줄기는 부드러운 회색을 띤다. 잎은 길이 11cm, 폭은 6.5cm까지 자라며, 달걀을 닮은 타원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말리는 듯한 톱니 또는 이빨모양이다. 엽맥은 5~9쌍으로 부드러운 털이 발달한다. 열매는 꽃자루 상에 2.5cm까지 자라며, 둘러싸고 있는 비늘은 가늘게 형성된다. 유럽너도밤나무의 잎은 두껍고 많기 때문에 유럽너도밤나무 자생지의 숲에 들어가면 햇빛이 조금밖에 들어오지 않아 하층식생이 적은 것이 특징이며 지표면에는 음지에서 견딜 수 있는 식물들 위주로 자란다. 자생지에서의 유럽너도밤나무는 대부분 나무를 심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치수가 많이 발생하여 후대의 숲을 이루게 되는데, 음지에서도 잘 견디고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AGMPGMKGM -
구매가능
#대왕참나무
Quercus palustris키가 크게 자라는 참나무 종류로 원뿔 또는 원통 모양의 수형도 멋있고 가을철 붉게 물드는 단풍도 아름답다. 잎이 지는 큰키나무로 공원이나 넓은 정원에 심는 것이 좋다. 다소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AGMPGMKGM -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잎이 지는 큰키나무로 길쭉한 잎의 가장자리에는 날카롭고 뾰족한 톱니가 발달한다. 잎 뒷면은 은빛을 띠기 때문에 바람이 불 때는 멀리서 바라봐도 구별할 수 있으며 가까이에서는 다른 참나무과 수목들에 비해 나무껍질에 더 깊고 두꺼운 코르크가 발달하여 구별하기 쉽다.
-
#밤나무
Castanea crenata잎이 지는 큰키나무로 가을철 고슴도치처럼 뾰족한 가시로 둘러싸인 열매 안에 발달하는 짙은 갈색 씨앗이 매력적이다. 여름철 길게 늘어지며 피는 크림빛 흰색 꽃에서는 진한 냄새가 난다. 꽃말은 "포근한 사랑, 정의"이다.
-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잎이 지는 큰키나무로 잎은 넓은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7-20cm, 너비 약 5-10cm 정도 된다. 잎 끝부분은 둔하고 밑은 점점 좁아져서 귀 모양을 하며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둔한 톱니가 발달한다. 떡갈나무, 갈참나무와 비슷하지만 털이 덜 발달하는 점과 잎자루가 아주 짧은 점이 구별된다.
-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늘푸른 큰키나무로 잎에 광택이 있으며 잎가장자리에는 중간 이상부터 끝부분까지 날카로운 톱니가 발달하는 점이 특징이다. 나무껍질은 회색을 띠는 녹색으로 터지지 않는다.
-
#구실잣밤나무
Castanopsis sieboldii늘푸른 큰키나무로 광택이 있는 진녹색 잎이 매력적이다. 꽃은 초여름철 연노란색으로 피며 꽃이 진 곳에는 달걀모양의 열매가 달려 이듬해 1월에 익는다.
-
#밤나무 '펜둘라'
Castanea crenata 'Pendula'잎이 지는 작은키나무로 전반적인 특성은 원종인 Castanea crenata와 비슷하지만 작게 자라면서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점이 구별된다.
-
#유럽너도밤나무 '리베르시'
Fagus sylvatica 'Riversii'잎이 지는 큰키나무로 짙은 자주색을 띠는 잎이 매력적이다. 수관이 넓게 퍼지면서 자라기 때문에 그늘이 필요한 공간에 심어 녹음수로 이용해도 좋으며 자주색이 강렬하기 때문에 잔디밭 등 녹색이 배경이 되는 공간에 독립수로 심으면 시선을 집중시키는 촛점식재로 강조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AGMPGM
Loading...더보기
-
-
분류자료 6 건
-
참나무과 (Fagaceae) 너도밤나무속 (Fagus)
북반구의 온대 등지에 약 10종이 분포하며 잎지는 큰키나무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게 붙으며 매끄럽게 벗겨지는 회색 나무껍질이 특징이다.
-
참나무과 (Fagaceae) 돌참나무속 (Lithocarpus)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북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약 34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늘푸른 큰키나무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게 붙으며 잎 가장자리는 대부분 밋밋하지만 드물게 톱니가 발달하기도 한다.
-
참나무과 (Fagaceae) 모밀잣밤나무속 (Castanopsis)
동아시아에 약 110종이 분포하며 늘푸른 작은키 또는 큰키나무로 자란다. 잎 가장자리에 거치가 밋밋하거나 둔한 톱니가 발달하며 윤기가 흐르는 두툼한 잎이 특징이다.
-
참나무과 (Fagaceae) 밤나무속 (Castanea)
유럽 남부, 아시아,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지에 약 12종이 분포하며 잎지는 작은키 또는 큰키나무로 자란다. 길쭉한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측맥은 평행하며, 구수한 듯 독특한 향기가 나는 꽃, 바늘 모양의 총포안에 견과가 생성되는 점이 특징이다.
-
참나무과 (Fagaceae) 참나무속 (Quercus)
북반구에 약 600종이 분포하며 잎이 지거나 늘푸른 큰키나무로 자란다. 깊게 갈라지는 나무껍질과 달걀 또는 타원 모양으로 생기는 열매가 특징이다.
더보기
-